외국에서의 은행 업무와 금융 문화 – 계좌 개설부터 송금까지
외국 생활에서 반드시 부딪히는 벽 중 하나는 은행 업무 다. 한국에서는 은행 업무가 비교적 단순하고 빠른 편이지만, 외국에서는 계좌 개설 하나부터 쉽지 않았다. 은행은 단순한 금융 기관이 아니라, 그 나라의 신뢰와 시스템을 보여주는 문화적 거울 이었다. 1. 계좌 개설 – 문턱의 차이 독일 독일에서 계좌를 개설할 때는 ‘거주지 등록증(Anmeldung)’이 필수였다. 집 계약서를 들고 시청에 가서 등록을 마치고, 그 증명서를 은행에 제출해야 계좌를 만들 수 있었다. 은행원이 “왜 계좌가 필요한지”를 꼼꼼히 묻는 것도 인상적이었다. 단순히 돈을 맡기는 게 아니라, 사회적 신뢰의 증명 을 요구하는 과정 같았다. 미국 미국에서는 계좌 개설이 상대적으로 간단했다. 여권, 비자, 학교 입학 허가서만 있으면 학생 계좌를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계좌 유지비가 붙거나, 일정 금액 미만이면 벌금이 부과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처럼 ‘무료 계좌’가 당연하지 않았던 것이다. 일본 일본에서는 한자를 모르면 계좌 개설조차 쉽지 않았다. 신청서에 직접 한자로 주소와 이름을 써야 했고, 도장(印鑑)이 필수였다. ‘사인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던 나는 그 절차에서 크게 당황했다. 하지만 그만큼 도장이 신분 보증 수단 으로 여겨지는 문화라는 걸 배웠다. 2. 인터넷 뱅킹 – 속도의 차이 한국의 인터넷 뱅킹은 세계적으로도 손꼽히게 빠르고 편리하다. 휴대폰 하나로 계좌 이체, 공과금 납부, 증권 거래까지 즉시 가능하다. 그러나 외국에서는 종종 답답한 경험을 했다. 독일 : 송금에 ‘TAN 코드(일회용 비밀번호)’를 문자로 받아 입력해야 했고, 이체가 반영되는 데 하루 이상 걸렸다. 미국 : 은행 간 이체(Zelle, ACH)는 보통 1 3일이 소요됐다. 빠른 송금(Wire Transfer)은 가능했지만 수수료가 20 40달러나 했다. 영국 : ‘Faster Payment’ 제도가 있어 그나마 빠른 편이었지만, 한국만큼 실시간은 아니었다. 나...